-
-
270
- 작성자철학전공
- 작성일2023.12.16
- 조회수290
-
철학전공 유성선 교수ㆍ철학실천연구소 유정은 연구교수, 율곡 이이의 「경연일기」 번역본 출간 인문대학 철학전공 유성선 교수와 철학실천연구소 유정은 연구교수가 함께 율곡 이이의 「경연일기」 번역본을 출간했다. 「경연일기」는 율곡 이이가 30세 때인 1565년(명종 20년) 7월에 시작하여 46세 때인 1581년(선조 14년) 11월까지 약 17년간의 방대한 경연 내용을 담고 있다. 당시 조정에서 일어난 왕과 여러 대신들의 정사 집행 내용과 함께 인물에 대한 평론, 그리고 율곡의 생각도 사론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는 경세서이면서 수양서이기도 하다. 유성선 교수와 유정은 연구교수는 스스로 사관의 위치에서 당시의 역사를 공정하게 이실직서(以實直書) 하여 직서(直書), 직필(直筆)의 전통을 세우고자 한 율곡 이이의 입장에서 이야기를 번역해 대중에게 전달한다. 유성선 교수는 우리대학 철학과를 졸업하고 일반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중앙대학교 철학과에서 「율곡 심론 연구」를 주제로 한 연구를 수행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유성선 교수는 율곡 전공자로 관련 저서 및 사상에 관한 연구와 강의를 진행하고, 한국철학 일반에 대한 다양하고 깊이 있는 연구를 진행하며 ▲「동·서 철학 상담」(공저, 2020), 「철학의 여러 문제와 철학실천」(공저, 2020) ▲「류성룡과 징비록」(2015) 등을 출판하고 ▲율곡의 「순언」: 유학자의 노자 「도덕경」 이해(2015) 등을 번역했다. 유정은 연구교수는 한국 철학과 여성 철학, 그중에서도 조선시대 여성의 사회적 지위 변화를 주력 연구 과제로 삼아 강원대하교 철학과에서 「신사임당의 <초충도>에 나타난 예술 철학 연구」로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신사임당 예술 철학 연구」를 주제로 연구를 수행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로는 「신사임당 <초충도>의 미의식 연구」(2011), 「신사임당 가계의 효행관 고찰」(2015), 「차강 박기정의 선비 정신과 예술 정신 연구」(2016), 「사임당 평전」(2016), 「신사임당과 옥산 이우의 서화 예술철학」(2017), 「옥산 이우의 서예관 고찰」(2018), 「율곡의 『선비행장』에 나타난 신사임당 연구」(2019), 「신사임당 <초충도>의 소재에 나타난 상징성 연구」(2021), 「임윤지당의 『윤지당유고』에 나타난 안회 연구」(2022), 「율곡의 『경포대부』에 숨겨진 신사임당의 사상 연구」(2023) 등이 있다.
-
268
- 작성자철학전공
- 작성일2023.12.16
- 조회수242
-
-
266
- 작성자철학전공
- 작성일2023.12.13
- 조회수237
-
-
264
- 작성자철학전공
- 작성일2023.12.13
- 조회수187
-
-
262
- 작성자철학전공
- 작성일2023.12.13
- 조회수230
-
-
260
- 작성자철학전공
- 작성일2023.12.11
- 조회수186
-
-
258
- 작성자철학전공
- 작성일2023.12.07
- 조회수306
-
-
256
- 작성자철학전공
- 작성일2023.12.07
- 조회수223
-
-
254
- 작성자철학전공
- 작성일2023.12.07
- 조회수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