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64
- 작성자철학전공
- 작성일2024.09.05
- 조회수139
-
-
362
- 작성자철학전공
- 작성일2024.09.04
- 조회수147
-
인문대학 철학전공 유성선 교수와 철학실천연구소 유정은 연구교수가 율곡 이이의 「격몽요결」 번역본을 출간했다. 「격몽요결」은 율곡 이이가 1577년 만년 42세(선조 10년) 되던 해에 황해도 해주 은병정사에서 저술한 책으로 ‘율곡전서’ 27권에 포함되어 있으며, 율곡 선생은 배우기를 청하는 초학자들에게 일일이 응대하는 것을 대신해 교재로 「격몽요결」을 집필하여 실천공부에 도움을 주고자 했다. 조선시대의 대표적 수신서이자 인성교육 교재인 「격몽요결」은 유학의 기초 수신서인 「소학」의 선수서로서, 한자를 익힌 후 유학에 입문하는 초학자들을 위한 동몽교재로 널리 활용되고 보급됐으며, 향교나 서원의 교재로 조정에서 배포하여 사용했을 뿐만 아니라, 일반 학자들 사이에서도 지속적으로 일관되게 숙독함으로써 초학자의 교재로서의 범위를 넘어선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유성선 교수는 강원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일반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했으며, 중앙대학교 철학과에서 「율곡 심론 연구」를 주제로 한 연구를 수행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유성선 교수는 율곡 전공자로 관련 저서 및 사상에 관한 연구와 강의를 진행하고 있으며, 한국철학 일반에 대한 다양하고 깊이 있는 연구를 수행해 ▲「동·서 철학 상담」(공저, 2020), 「철학의 여러 문제와 철학실천」(공저, 2020) ▲「류성룡과 징비록」(2015) 등을 출판하고 ▲율곡의 「순언」: 유학자의 노자 「도덕경」 이해(2015) 등을 번역했다. 유정은 연구교수는 한국 철학과 여성 철학, 특히 조선시대 여성의 사회적 지위 변화에 중점을 두고 연구과제를 진행하고 있으며, 강원대학교 철학과에서 「신사임당의 <초충도>에 나타난 예술 철학 연구」로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신사임당 예술 철학 연구」를 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유정은 연구교수의 주요 연구로는 「신사임당 <초충도>의 미의식 연구」(2011), 「신사임당 가계의 효행관 고찰」(2015), 「차강 박기정의 선비 정신과 예술 정신 연구」(2016), 「사임당 평전」(2016), 「신사임당과 옥산 이우의 서화 예술철학」(2017), 「옥산 이우의 서예관 고찰」(2018), 「율곡의 『선비행장』에 나타난 신사임당 연구」(2019), 「신사임당 <초충도>의 소재에 나타난 상징성 연구」(2021), 「임윤지당의 『윤지당유고』에 나타난 안회 연구」(2022), 「율곡의 『경포대부』에 숨겨진 신사임당의 사상 연구」(2023) 등이 있다.
-
360
- 작성자철학전공
- 작성일2024.09.04
- 조회수169
-
-
358
- 작성자철학전공
- 작성일2024.08.30
- 조회수215
-
-
356
- 작성자철학전공
- 작성일2024.08.24
- 조회수132
-
-
354
- 작성자철학전공
- 작성일2024.08.14
- 조회수228
-
-
352
- 작성자철학전공
- 작성일2024.08.13
- 조회수155
-
-
350
- 작성자철학전공
- 작성일2024.08.09
- 조회수217
-
-
348
- 작성자철학전공
- 작성일2024.07.27
- 조회수216